오늘은 비상장 주식에 대해서 알아보고 비상장 주식 거래 방법, 거래시간 및
거래 시 발생하는 세금 및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비상장주식이란?
비상장주식은 증권거래소(코스피, 코스닥)에 상장되지 않은 주식을 의미합니다.
주로 스타트업, 중소기업 또는 아직 상장을 준비 중인 기업의 주식이 해당됩니다.
이러한 주식은 유동성이 낮아 거래가 어렵지만, 향후 기업이 성장하여 상장하게 되면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데요.
1. 비상장주식 거래 방법
비상장주식은 일반적인 주식시장(코스피, 코스닥)에서 거래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방법을 통해 매매해야 합니다.
주요 거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증권사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 이용
■ K-OTC (한국장외주식시장):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 운영하는 공신력 있는 장외시장으로, 일정한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의 주식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 증권사 장외시장: 주요 증권사(삼성증권, KB증권, 신한투자증권 등)에서 제공하는 장외주식 거래 플랫폼을 통해 거래할 수 있습니다.
■ 비상장 주식 거래 전문 앱: '증권플러스 비상장', '서울거래소 비상장' 등의 앱을 이용하여 개인 간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개인 간 직접 거래 (P2P 거래)
■ 지인이나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직접 거래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 하지만 사기 및 법적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3) 스타트업 투자 플랫폼 이용
■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또는 벤처캐피털을 통한 투자도 가능하며, 초기 스타트업 주식 매입 후 보유할 수 있습니다.
2. 비상장주식 거래 시간
비상장주식 거래는 일반 주식시장과 다르게 운영됩니다. 주요 거래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K-OTC: 평일 오전 9시 ~ 오후 3시 30분
■ 증권사 장외주식 플랫폼: 각 증권사별로 다를 수 있으며, 보통 주식시장 운영 시간과 유사
■ 개인 간 거래: 시간 제한 없이 자유롭게 협의 가능
■ 비상장 거래 앱: 24시간 주문 가능하지만, 매도·매수 체결은 주식시장 운영 시간과 연계될 수 있음
3. 비상장주식 거래 시 발생하는 세금
비상장주식 거래에는 특정 세금이 부과됩니다. 일반적인 세금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양도소득세
■ 대주주(지분 4% 이상 또는 10억 원 이상 보유)의 경우 양도소득세 부과 대상
■ 일반 투자자의 경우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율: 기본세율(6~45%) 또는 지방소득세 10% 추가
■ 중소기업 주식: 세율 10%
■ 대기업 주식: 세율 20%
2) 증권거래세
■ 비상장주식 거래 시 0.45%의 증권거래세 부과 (2025년부터 0.35%로 인하 예정)
3) 배당소득세
■ 비상장주식에서 배당금이 발생할 경우, 배당소득세(15.4%) 적용
4. 비상장주식 거래 시 주의사항
비상장주식 거래는 높은 수익 가능성이 있지만,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다음 사항을 반드시 유의해야 합니다.
1) 기업 정보 확인
■ 해당 기업의 재무제표, 성장 가능성, 사업 모델을 철저히 분석해야 합니다.
■ 공시 정보가 부족할 수 있어 신뢰할 만한 정보원을 활용해야 합니다.
2) 유동성 문제
■ 비상장주식은 매수자는 많지만 매도자는 적을 수 있어, 원하는 시기에 매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사기 및 불법 거래 주의
■ 개인 간 거래 시 신뢰할 수 있는 거래소 또는 플랫폼을 이용해야 합니다.
■ 허위 정보로 투자자를 유인하는 사례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세금 및 법적 문제 고려
■ 거래 후 발생할 수 있는 세금 문제를 미리 확인하고 신고 절차를 숙지해야 합니다.
5) 장기 투자 관점 필요
■ 비상장기업의 상장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며, 상장이 무산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5. 결론
비상장주식은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 대상이지만, 유동성이 낮고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므로
신중한 분석과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적절한 거래 방법을 선택하고 세금 문제를 고려하여 안전하게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상장주식 거래를 고려하고 있다면, 믿을 수 있는 플랫폼을 활용하고 기업의 재무 상태와 시장 전망을
철저히 분석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정보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월세 전환율이란? 계산 방법과 관련 법률, 전월세 전환율 계산기까지 알아보자 (3) | 2025.03.06 |
---|---|
부동산 경매에 대해 알아보고 각종 용어도 정리해보기 (0) | 2025.03.06 |
주택청약 소득공제 및 무주택 확인서 발급 방법, 2025년 달라지는 소득공제 정리 (0) | 2025.03.06 |
임대사업자 주택 유형 및 임대사업자 혜택 정리!! (2) | 2025.03.06 |
에어컨 관리 및 청소 방법,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1) | 2025.03.06 |